반응형
| K-MOOC
K-MOOC 소개 K-MOOC는 온라인을 통해서누구나, 어디서나 원하는 강좌를 무료로 들을 수 있는온라인 공개강좌 서비스로 2015년에 시작된한국형 무크입니다. more 강좌찾기 K-MOOC의 다양한 강좌를 통해
www.kmooc.kr
다른 글에서 말했다시피 나는 심심하면 공부한다.
내가 관심있는 분야를..
앞으로 다른 공부한 내용들도 그렇고..
회로이론 강의를 들으며 배운 것들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대구대학교 최병재 교수님의 회로 이론을 수강했다.
회로이론 강좌 주차별 내용 안내
주차(Week) | 주차별 학습 목표 | 차시 | 학습활동 |
1. 회로소자와 전기회로 | 1. 전기회로의 구성과 단위(Unit)를 이해할 수 있다. 2. 전기회로에 사용되는 전류, 전압, 전력 등의 주요 물리량을 이해할 수 있다. 3. 독립전원과 종속전원을 이해할 수 있다. 4. 종속전원의 네 가지 종류를 구분할 수 있다. |
1-1. 전기회로 기초 | |
1-2. 전기회로의 물리량 | |||
1-3. 전원의 이해 | 1주차 퀴즈 |
||
2. 회로 해석을 위한 기본 법칙 | 1. 수동소자인 저항을 이해할 수 있다. 2. 옴의 법칙을 이해할 수 있다. 3. 회로망에 사용되는 주요 용어를 이해할 수 있다. 4. 전기회로 해석을 위한 키르히호프의 전류법칙과 전압법칙을 이해할 수 있다. 5. 전압과 저항의 다양한 연결과 전류분배, 전압 분배를 이해할 수 있다. |
2-1. 옴의 법칙과 회로망 용어 | |
2-2. KCL 과 KVL | |||
2-3. 합성저항과 전압,전류의 분배 | 2주차 퀴즈 |
||
3. 마디해석과 망로해석 | 1. 크래머의 법칙을 이해할 수 있다. 2. 마디 해석법과 그 사례를 이해하고, 회로를 해석할 수 있다. 3. 망로 해석법과 그 사례를 이해하고, 회로를 해석할 수 있다. |
3-1. 크래머의 법칙과 마디해석 | |
3-2. 초마디와 망로해석 | |||
3-3. 초망로와 망로해석 | 3주차 퀴즈 |
||
4. 회로해석을 위한 유용한 방법 | 1. 중첩의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여 회로를 해석할 수 있다. 2. 전원 변환의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여 회로를 해석할 수 있다. 3. 테브낭의 정리와 노턴의 정리를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여 회로를 해석할 수 있다. 4. 저항의 델타망과 와이망을 이해하고, 이들을 상호 변환할 수 있다. 5. 최대전력전달의 원리를 이해할 수 있다. |
4-1. 중첩의 원리 | |
4-2. 전원변환과 회로해석 | |||
4-3. 델타-와이 변환과 최대전력전달 | 4주차 퀴즈 |
||
5. 커패시터와 인덕터 | 1. 커패시터의 물리적 특성을 이해할 수 있다. 2. 인덕터의 물리적 특성을 이해할 수 있다. 3. 커패시터와 인덕터의 직병렬 연결을 이해할 수 있다. 4. 연산증폭기를 이해하고, 미분기와 적분기를 구현할 수 있다. |
5-1. 커패시터 | |
5-2. 인덕터 | |||
5-3. 연산 증폭기 | 5주차 퀴즈 |
||
6. RC회로망과 RL회로망 | 1. 시상수를 이해할 수 있다. 2. 계단함수와 임펄스함수를 이해하고, 계단함수에 의해 전원 연결을 구현할 수 있다. 3. 회로 해석의 응답 종류를 이해할 수 있다. 4. 무전원 및 전원 구동의 RL, RC 회로망을 이해하고, 회로를 해석할 수 있다. |
6-1. 무전원 RC, RL 회로의 해석 | |
6-2. 함수와 임펄스함수 | |||
6-3. 전원구동 RC, RL 회로의 해석 | 6주차 퀴즈 |
||
7. RLC회로의 응답 | 1. 2차 시스템의 특성방정식을 이해할 수 있다. 2. 무전원 및 전원구동 RLC 회로망의 응답 종류를 이해할 수 있다. 3. 무전원 RLC 회로망의 완전 응답을 구할 수 있다. 4. 전원구동 RLC 회로망의 완전 응답을 구할 수 있다. |
7-1. 2차 시스템과 RLC 회로망 | |
7-2. 무전원 RLC 회로 | |||
7-3. 원구동 RLC 직렬 회로망 해석 | 7주차 퀴즈 |
||
8주차 | 중간고사(평가) | 시험(온라인 개별평가) | |
9. 페이저를 이용한 교류회로의 해석 |
1. 정현함수와 정현함수 전원을 이해할 수 있다. 2. 복소수와 삼각함수의 기본 개념을 이해할 수 있다. 3. 페이저의 개념을 이해할 수 있다. 4. 페이저에 기반한 임피던스의 개념을 이해할 수 있다. 5. 페이저에 의한 RLC 회로망의 정상상태 응답을 구할 수 있다. |
9-1. 정현함수와 복소수의 이해 | |
9-2. 페이저와 임피던스 | |||
9-3. 페이저에 의한 정상상태 회로 해석 | 9주차 퀴즈 |
||
10. 교류회로의 전력과 공진 |
1. 교류전원의 RLC회로망에서 실효값과 최대전력전달 조건을 이해할 수 있다. 2. 정현파 전원에 의한 전력의 종류를 이해할 수 있다. 3. 역률과 역률의 개선, 그리고 복소전력의 개념을 이해할 수 있다. 4. 전기회로의 주파수응답과 공진을 이해할 수 있다. 5. RLC회로망의 병렬공진과 직렬공진을 구분하여 이해할 수 있다. |
10-1. 실효값과 교류회로의 전력 | |
10-2. 최대전력전달과 역률 | |||
10-3. 교류회로의 공진 | 10주차 퀴즈 |
||
11. 3상회로와 자기결합회로 |
1. 3상회로와 3상회로의 전력 전달을 이해할 수 있다. 2. 3상회로의 다양한 결선(평형, 불평형, Y-Y, Y-▽ 등)을 이해할 수 있다. 3. 자기결합회로를 이해하고, 자기결합된 회로망을 해석할 수 있다. 4. 선형변압기와 이상적인 변압기를 이해하고, 이를 응용할 수 있다. |
11-1. 다상회로망 기초 | |
11-2. 3상 회로망의 결선과 전력 | |||
11-3. 자기결합회로 | 11주차 퀴즈 |
||
12. 라플라스 변환 |
1. 복소주파수의 개념을 이해할 수 있다. 2. 라플라스 변환과 주요 특징을 이해할 수 있다. 3. 주요 함수의 라플라스 변환 함수를 구할 수 있다. |
12-1. 복소주파수와 라플라스 변환 | |
12-2. 라플라스 변환의 성질 | |||
12-3. 라플라스 변환의 초기치 정리와 최종치 정리 | 12주차 퀴즈 |
||
13. 라플라스 변환에 의한 회로해석 |
1. 라플라스 역변환을 이해할 수 있다. 2. 주요 라플라스 변환 함수를 시간 영역의 함수로 역변환할 수 있다. 3. R,L,C 소자의 I-V 특성을 라플라스 변환 함수로 나타낼 수 있다. 4. 임의의 RLC 회로망을 라플라스 변환 기법으로 해석할 수 있다. |
13-1. 라플라스 역변환 | |
13-2. 유수합 정리와 R, L, C 소자의 라플라스 변환 | |||
13-3. RLC회로망의 s-영역 해석 | 13주차 퀴즈 |
||
14. 2-포트 회로망 |
1. 회로망에서 단자(terminal)와 포트(port)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2. y-정수, z-정수, h-정수, t-정수 등 다양한 2-포트 회로망의 구성을 이해할 수 있다. 3. 2-포트 회로망의 상호 연결을 활용하여 복잡한 회로를 해석할 수 있다. |
14-1. y-정수 회로망과 z-정수 회로망례 | |
14-2. h-정수 회로망과 t-정수 회로망 | |||
14-3. 2-포트 회로망의 상호 연결 | 14주차 퀴즈 |
||
15주차 | 기말고사(평가) | 시험(온라인 개별평가) |
변리사, 기술고시, 전기기사, 전자기사 등을 준비하기 위해서 공부하는 과목이라고 한다.
다재다능한 공학도가 되기 위하여
도전!
반응형
반응형
| K-MOOC
K-MOOC 소개 K-MOOC는 온라인을 통해서누구나, 어디서나 원하는 강좌를 무료로 들을 수 있는온라인 공개강좌 서비스로 2015년에 시작된한국형 무크입니다. more 강좌찾기 K-MOOC의 다양한 강좌를 통해
www.kmooc.kr
다른 글에서 말했다시피 나는 심심하면 공부한다.
내가 관심있는 분야를..
앞으로 다른 공부한 내용들도 그렇고..
회로이론 강의를 들으며 배운 것들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대구대학교 최병재 교수님의 회로 이론을 수강했다.
회로이론 강좌 주차별 내용 안내
주차(Week) | 주차별 학습 목표 | 차시 | 학습활동 |
1. 회로소자와 전기회로 | 1. 전기회로의 구성과 단위(Unit)를 이해할 수 있다. 2. 전기회로에 사용되는 전류, 전압, 전력 등의 주요 물리량을 이해할 수 있다. 3. 독립전원과 종속전원을 이해할 수 있다. 4. 종속전원의 네 가지 종류를 구분할 수 있다. |
1-1. 전기회로 기초 | |
1-2. 전기회로의 물리량 | |||
1-3. 전원의 이해 | 1주차 퀴즈 |
||
2. 회로 해석을 위한 기본 법칙 | 1. 수동소자인 저항을 이해할 수 있다. 2. 옴의 법칙을 이해할 수 있다. 3. 회로망에 사용되는 주요 용어를 이해할 수 있다. 4. 전기회로 해석을 위한 키르히호프의 전류법칙과 전압법칙을 이해할 수 있다. 5. 전압과 저항의 다양한 연결과 전류분배, 전압 분배를 이해할 수 있다. |
2-1. 옴의 법칙과 회로망 용어 | |
2-2. KCL 과 KVL | |||
2-3. 합성저항과 전압,전류의 분배 | 2주차 퀴즈 |
||
3. 마디해석과 망로해석 | 1. 크래머의 법칙을 이해할 수 있다. 2. 마디 해석법과 그 사례를 이해하고, 회로를 해석할 수 있다. 3. 망로 해석법과 그 사례를 이해하고, 회로를 해석할 수 있다. |
3-1. 크래머의 법칙과 마디해석 | |
3-2. 초마디와 망로해석 | |||
3-3. 초망로와 망로해석 | 3주차 퀴즈 |
||
4. 회로해석을 위한 유용한 방법 | 1. 중첩의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여 회로를 해석할 수 있다. 2. 전원 변환의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여 회로를 해석할 수 있다. 3. 테브낭의 정리와 노턴의 정리를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여 회로를 해석할 수 있다. 4. 저항의 델타망과 와이망을 이해하고, 이들을 상호 변환할 수 있다. 5. 최대전력전달의 원리를 이해할 수 있다. |
4-1. 중첩의 원리 | |
4-2. 전원변환과 회로해석 | |||
4-3. 델타-와이 변환과 최대전력전달 | 4주차 퀴즈 |
||
5. 커패시터와 인덕터 | 1. 커패시터의 물리적 특성을 이해할 수 있다. 2. 인덕터의 물리적 특성을 이해할 수 있다. 3. 커패시터와 인덕터의 직병렬 연결을 이해할 수 있다. 4. 연산증폭기를 이해하고, 미분기와 적분기를 구현할 수 있다. |
5-1. 커패시터 | |
5-2. 인덕터 | |||
5-3. 연산 증폭기 | 5주차 퀴즈 |
||
6. RC회로망과 RL회로망 | 1. 시상수를 이해할 수 있다. 2. 계단함수와 임펄스함수를 이해하고, 계단함수에 의해 전원 연결을 구현할 수 있다. 3. 회로 해석의 응답 종류를 이해할 수 있다. 4. 무전원 및 전원 구동의 RL, RC 회로망을 이해하고, 회로를 해석할 수 있다. |
6-1. 무전원 RC, RL 회로의 해석 | |
6-2. 함수와 임펄스함수 | |||
6-3. 전원구동 RC, RL 회로의 해석 | 6주차 퀴즈 |
||
7. RLC회로의 응답 | 1. 2차 시스템의 특성방정식을 이해할 수 있다. 2. 무전원 및 전원구동 RLC 회로망의 응답 종류를 이해할 수 있다. 3. 무전원 RLC 회로망의 완전 응답을 구할 수 있다. 4. 전원구동 RLC 회로망의 완전 응답을 구할 수 있다. |
7-1. 2차 시스템과 RLC 회로망 | |
7-2. 무전원 RLC 회로 | |||
7-3. 원구동 RLC 직렬 회로망 해석 | 7주차 퀴즈 |
||
8주차 | 중간고사(평가) | 시험(온라인 개별평가) | |
9. 페이저를 이용한 교류회로의 해석 |
1. 정현함수와 정현함수 전원을 이해할 수 있다. 2. 복소수와 삼각함수의 기본 개념을 이해할 수 있다. 3. 페이저의 개념을 이해할 수 있다. 4. 페이저에 기반한 임피던스의 개념을 이해할 수 있다. 5. 페이저에 의한 RLC 회로망의 정상상태 응답을 구할 수 있다. |
9-1. 정현함수와 복소수의 이해 | |
9-2. 페이저와 임피던스 | |||
9-3. 페이저에 의한 정상상태 회로 해석 | 9주차 퀴즈 |
||
10. 교류회로의 전력과 공진 |
1. 교류전원의 RLC회로망에서 실효값과 최대전력전달 조건을 이해할 수 있다. 2. 정현파 전원에 의한 전력의 종류를 이해할 수 있다. 3. 역률과 역률의 개선, 그리고 복소전력의 개념을 이해할 수 있다. 4. 전기회로의 주파수응답과 공진을 이해할 수 있다. 5. RLC회로망의 병렬공진과 직렬공진을 구분하여 이해할 수 있다. |
10-1. 실효값과 교류회로의 전력 | |
10-2. 최대전력전달과 역률 | |||
10-3. 교류회로의 공진 | 10주차 퀴즈 |
||
11. 3상회로와 자기결합회로 |
1. 3상회로와 3상회로의 전력 전달을 이해할 수 있다. 2. 3상회로의 다양한 결선(평형, 불평형, Y-Y, Y-▽ 등)을 이해할 수 있다. 3. 자기결합회로를 이해하고, 자기결합된 회로망을 해석할 수 있다. 4. 선형변압기와 이상적인 변압기를 이해하고, 이를 응용할 수 있다. |
11-1. 다상회로망 기초 | |
11-2. 3상 회로망의 결선과 전력 | |||
11-3. 자기결합회로 | 11주차 퀴즈 |
||
12. 라플라스 변환 |
1. 복소주파수의 개념을 이해할 수 있다. 2. 라플라스 변환과 주요 특징을 이해할 수 있다. 3. 주요 함수의 라플라스 변환 함수를 구할 수 있다. |
12-1. 복소주파수와 라플라스 변환 | |
12-2. 라플라스 변환의 성질 | |||
12-3. 라플라스 변환의 초기치 정리와 최종치 정리 | 12주차 퀴즈 |
||
13. 라플라스 변환에 의한 회로해석 |
1. 라플라스 역변환을 이해할 수 있다. 2. 주요 라플라스 변환 함수를 시간 영역의 함수로 역변환할 수 있다. 3. R,L,C 소자의 I-V 특성을 라플라스 변환 함수로 나타낼 수 있다. 4. 임의의 RLC 회로망을 라플라스 변환 기법으로 해석할 수 있다. |
13-1. 라플라스 역변환 | |
13-2. 유수합 정리와 R, L, C 소자의 라플라스 변환 | |||
13-3. RLC회로망의 s-영역 해석 | 13주차 퀴즈 |
||
14. 2-포트 회로망 |
1. 회로망에서 단자(terminal)와 포트(port)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2. y-정수, z-정수, h-정수, t-정수 등 다양한 2-포트 회로망의 구성을 이해할 수 있다. 3. 2-포트 회로망의 상호 연결을 활용하여 복잡한 회로를 해석할 수 있다. |
14-1. y-정수 회로망과 z-정수 회로망례 | |
14-2. h-정수 회로망과 t-정수 회로망 | |||
14-3. 2-포트 회로망의 상호 연결 | 14주차 퀴즈 |
||
15주차 | 기말고사(평가) | 시험(온라인 개별평가) |
변리사, 기술고시, 전기기사, 전자기사 등을 준비하기 위해서 공부하는 과목이라고 한다.
다재다능한 공학도가 되기 위하여
도전!
반응형